국가장학금 구간, 확인 방법, 기준, 소득, 구간별 지원금에 대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국가 장학금은 소득 기준에 맞춰 대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제도인데요. 일정 기준과 소득 요건이 충분하다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국가장학금 구간(소득분위)란
국가 장학금 구간은 1부터 9구간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학생과 부모님의 소득, 또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 배우자의 소득을 합산하여 구간이 산정되는데요. 구간이 낮을수록 (1~3구간) 더 많은 장학금이 지급됩니다. 2025년부터는 9구간까지 지원금이 확대되어 더 많은 분이 혜택을 받을 예정입니다. 국가 장학금은 신청 시기가 있기 때문에 해당 시기를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국가장학금 소득 구간 확인 방법
1. 한국 장학재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공동/금융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합니다.
3. 상단 메뉴에서 장학금 – 학자금 지원구간 – 가구원 학자금 지원구간 산정 현황을 선택합니다.
4. 지원 구간의 결과를 확인합니다.
먼저 국가 장학금을 신청하기에 앞서 본인이 어떤 구간에 해당하는지, 조건에 부합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 사실 신청을 해도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하시고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소득 구간 산정 기준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공제액
- 반영대상: 학생 본인, 미혼은 부모, 기혼은 배우자 소득·재산 모두 포함
- 소득: 근로, 사업, 연금, 이자, 배당 등 모든 소득
- 재산: 부동산(주택, 토지), 금융자산(예금, 주식), 자동차, 전세금 등
- 재산의 소득환산: 재산별 환산계수 적용(예: 1억 원 부동산 = 월 소득 41만6천 원 등)
- 부채: 전세보증금, 대출 등은 차감
- 공제: 형제자매 수, 장애인, 노인 등 가구특성별 공제액 적용
- 산정기간: 보통 신청 후 4~8주 소요
기본적으로 본인 가족의 모든 소득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사실 구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 때문에 이의 신청을 해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가능성이 큰데요.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장학재단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사실 국가 장학금은 해당 구간에 있는 경우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절차를 따라서 신청하시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국가장학금 구간 별 지원금 – 2025년
소득구간(분위) | 연간 최대 지원금액 | 학기별 최대 지원금액 | 다자녀(셋째 이상) |
---|---|---|---|
기초/차상위 | 등록금 전액 | 등록금 전액 | 등록금 전액 |
1~3구간 | 570만 원 | 285만 원 | 등록금 전액 |
4~6구간 | 420만 원 | 210만 원 | 240만 원 |
7~8구간 | 350만 원 | 175만 원 | 225만 원 |
9구간(신설) | 100만 원 | 50만 원 | 135만 원 |
작년까지는 8구간까지만 구분이 되었는데요. 2025년부터는 9구간이 신설되어 대부분의 학생이 장학금 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 보통 많이 받는 구간은 7~8구간이나 4~6구간 학생들이 혜택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차상위 계층은 모든 등록금이 전액 면제이기 때문에 반드시 신청하시기를 바랍니다.
지금까지 국가장학금 구간, 확인 방법, 기준 및 소득 마지막으로 구간별 지원금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대 적금 추천, 금액, 통장 추천, 이율 정리 – 2025
4대 보험 가입 확인서 발급 방법, 모바일 발급, 동사무소 정리
경기도 청년 복지 포인트 신청 방법, 사용처, 공무원 신청 여부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조건, 서류, 만기, 알바 및 퇴사자
청년 여행지원금 사업 신청 방법, 조건, 금액 정리 – 2025